목록전체 글 (20)
먼지나는 블로그

1.html WEB HTML CSS JavaScript HTML Hypertext Markup Launguage (HTML) is the standard markup language for creating web pages and web applications. Web browsers receive HTML documents from a web server or from local storage and render them into multimedia web pages. HTML describes the structure of a web page sematically and originally included cues for the appearance of the document. This HTML us..

Tag 위의 그림에서 HTML CSS JavaScript HTML이란 무엇인가? Hypertext Markup Launguage (HTML) is the standard markup language for creating web pages and web applications. This HTML usage data comes from 11.3 million index pages gathered from top twenty Google results, for about 30 million keywords - chosen by keyword volume. To learn more about this data, visit the FAQ section.
using System; namespace CSharp { class Program { enum ClassType { None = 0, Knight = 1, Archer = 2, Mage = 3 } enum MonsterType { None = 0, Slime = 1, Orc = 2, Skeleton = 3 } struct Monster { public int hp; public int attack; } struct Player { public int hp; public int attack; } static ClassType ChoiceClass() { Console.WriteLine("직업을 선택하세요!"); Console.WriteLine("[1] 기사"); Console.WriteLine("[2] ..
1. 직업 선택 using System; namespace CSharp { class Program { enum ClassType { None = 0, Knight = 1, Archer = 2, Mage = 3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Type choice = ClassType.None; while(true) { Console.WriteLine("직업을 선택하세요!"); Console.WriteLine("[1] 기사"); Console.WriteLine("[2] 궁수"); Console.WriteLine("[3] 마법사");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switch (input) { case "1": choice = Cla..

ref와 out은 C#에서 인자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다 메서드간의 참조형식으로 값을 사용하게 해준다. ref는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out은 특정한 상황에서만 사용되는데 아래 예시코드를 통해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1. ref using System; namespace CSharp { class Program { static void Swap(ref int a, ref int b) { int temp = a; a = b; b = temp; } //덧셈함수 static void AddOne(ref int number) { number = number + 1; } static int AddOne2(int number) { return number + 1; } static void Main(str..

이번 포스팅에선 드디어 프론트엔드 로드맵 중 첫파트인 인터넷에 관련된 기본상식들을 끝내보려 한다 1. 도메인 네임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바로 IP주소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IP주소들은 숫자로 되어있기 때문에 쉽게 외울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ip주소에 인간이 식별할 수 있도록 이름을 붙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DN 즉, 도메인 네임이다 도메인은 국가/일반도메인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때 국가도메인은 kr(대한민국), us(미국)등으로 구분된다 일반도메인은 com(회사), net(네트워크 관련기관), org(비영리기관)등 특성에 따라 나뉘어 진다 2. DNS 우리가 보통 구글에 접속하기 위해 주소창에..

1일차에 이어 2일차 또한 기초상식인 HTTP와 브라우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HTTP란 무엇일까? HTTP는 자세히 알지는 못하더라도 아마 인터넷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어딘가 낯이 익을 것이다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던간에 주소링크 앞에 붙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때 프로토콜은 쉽게 말해 시스템끼리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덧붙여 http의 특징에 대해서도 찾아보았다 (1) Request와 Response 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clien..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에 따라 차근차근 기초부터 공부해보기로 했다 기본을 얼마나 탄탄하게 쌓느냐에 따라서 이후에 배워볼 언어들을 좀 더 깊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1. 인터넷 먼저 로드맵을 살펴보면 웹개발을 시작하기 전 반드시 알아둬야 하는 기본적인 상식들이 있는데 그 중 가장 처음으로 알아볼 것은 인터넷 정의와 동작원리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로써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가능하게 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이 때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다. 2.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되는것인가? 위 그림처럼 두개의 컴퓨터끼리 통신을 해야할 때 보통 이더넷케이블이나 무선(..